044

다음 글의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e Megarian philosopher Eubulides is usually credited with the first formulation of the puzzle. Although we don’t know his motivations for introducing it, the paradox was later used by Greek philosophers as a dialectical weapon, most notably by the Sceptics against the Stoics’ claims to knowledge. Curiously, the paradox ***************** until the late 19th century. Marxist philosophers in the neo-Hegelian tradition, like Plekhanov, cited the paradox as evidence of the failure of “customary” logic and the utility of the ‘logic of contradiction’. In this way some Marxists sought to establish the triumph of the dialectic. Meanwhile, in Anglo-American philosophy, formal logic regained its central place, and its classical formalisation left no room for the vagueness of natural language. Vagueness and the associated paradox were seen as lying beyond the scope of logic and so posing no challenge to it. However, since the demise of the ideal language doctrines of the latter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interest in the idiosyncrasies of natural language, including its vagueness, has greatly increased.

* demise 소멸, 종말
**dialectic 변증법
***idiosyncrasies 특질, 특이성

① became more and more complicated
② continued to pass down
③ attracted little subsequent interest
④ slowly dissipated
⑤ stimulated the thinking of many philosophers

정답 확인 및 중요 구문

정답 및 해석


원문 : Sorites Paradox

메가라학파의 철학자인 Eubulides는 이 역설 양식을 처음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비록 우리는 그가 이것을 도입한 동기를 알지 못하지만, 이 역설은 나중에 그리스 철학자들에 의해 변증법의 무기로 사용되었으며, 특히 스토아 학파의 지식 주장에 대항하여 회의주의자들에 의해 사용되었습니다. 신기하게도 이 역설은 19세기 후반까지는 거의 관심을 끌지 못했습니다. 신 헤겔주의 전통에서 나온 마르크스주의 철학자들은 Plekhanov와 같이 관습적인 논리의 실패와 ‘모순의 논리’의 유용성을 입증하는 근거로서 이 역설을 인용했습니다. 이런 식으로 일부 마르크스주의자들은 변증법의 승리를 확립하려고 했습니다. 한편, 영미 철학에서는 형식 논리가 중심적인 위치를 되찾았으며, 그것의 고전적인 형식화는 자연 언어의 모호함에 어떠한 장소도 남기지 않았습니다. 모호함, 그리고 관련된 역설은 논리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그것에 도전을 제기하지 않는 것으로 여겨졌습니다. 그러나 20세기 후반의 이상적인 언어 원칙의 소멸 이후, 모호함을 포함한 자연 언어의 특이성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중요구문

However, / ⓐsince the demise / of the ideal language doctrines / of the latter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 interest in the idiosyncrasies of natural language, / ⓑincluding its vagueness, / has greatly increased.
그러나, / 소멸 이후 / 이상적인 언어 원칙의 / 20세기 후반의, / 자연 언어의 특이성에 대한 관심은, / 그것의 모함을 포함한, / 크게 증가했다.

ⓐ since는 시간을 나타내는 전치사(부사구)로 사용되었다.
ⓑ including은 분사형 전치사로 주어를 부연설명하고 있다.

어휘

paradox역설notably특히, 현저히
subsequent차후의cite인용하다, 이유를 들다
customary관습적인, 습관적인contradiction모순, 반박
regain되찾다, 되돌아오다formalisation형식화
vagueness모호함, 막연함doctrine원칙, 신조, 주의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