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21

다음 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Anna Anderson was an impostor who claimed to be Grand Duchess Anastasia of Russia. Anastasia, the youngest daughter of the last Tsar and Tsarina of Russia, Nicholas II and Alexandra, was murdered along with her parents and siblings on 17 July 1918 by communist revolutionaries, but the location of her body was unknown until 2007. In March 1922, claims that Anderson was a Russian grand duchess first received public attention. Most members of Grand Duchess Anastasia’s family and those who had known her said Anderson was an impostor but others were convinced she was Anastasia. In 1927, a private investigation funded by the Tsarina’s brother, Ernest Louis, Grand Duke of Hesse, identified Anderson as Franziska Schanzkowska, a Polish factory worker with a history of mental illness. After a lawsuit lasting many years, the German courts ruled that Anderson had failed to prove she was Anastasia, but through media coverage, her claim gained notoriety.

*Grand Duchess 여제, 여대공
**Tsarina 황후

① Anderson은 Anastasia를 사칭한 사기꾼이었다.
② Anastasia는 공산주의자들에게 살해당했고 시체는 아직도 발견되지 않았다.
③ Anderson이 Anastasia라는 주장이 1922년 3월에 처음으로 큰 관심을 받았다.
④ Anastasia를 알고 지낸 사람들은 Anderson이 사기꾼이라고 말했다.
⑤ 수년간의 소송 끝에도 Anderson은 자신의 주장을 증명하지 못했다.

정답 확인 및 중요 구문

정답 및 해석


원문 : Anna Anderson

Anna Anderson은 러시아의 Anastasia 여대공이라고 주장한 사기꾼이었다. 1918년 7월 17일, 러시아의 마지막 황제와 황후인 Nicholas 2세와 Alexandra 사이에서 태어난 막내딸 Anastasia가 공산주의 혁명가들에 의해 부모와 형제들과 함께 살해되었지만, 그녀의 시신의 위치는 2007년까지 알려지지 않았다. 1922년 3월, Anderson이 러시아의 대공작이라는 주장이 처음으로 대중의 관심을 받았다. 대부분의 Anastasia 대공의 가족들과 그녀를 알고 있던 사람들은 Anderson이 사기꾼이라고 말했지만 다른 사람들은 그녀가 Anastasia라고 확신했다. 1927년 황후의 오빠인 Hesse 대공 Ernest Louis가 개인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Anderson은 Franziska Schanzkowska가 본명인 폴란드의 공장 노동자로 정신병력이 있는 사람이었다. 수년간 지속된 소송 끝에, 독일 법원은 Anderson이 그녀가 Anastasia라는 것을 증명하지 못했다고 판결했지만, 언론 보도를 통해 그녀의 주장은 악명을 얻었다.

중요구문

In 1927, / a private investigation / ⓐfunded / by the Tsarina’s brother, / ⓑErnest Louis, Grand Duke of Hesse, / ⓒidentified / Anderson / as Franziska Schanzkowska, / ⓑa Polish factory worker / with a history of mental illness.
1927년에 / 개인적인 조사는 / 자금을 제공받은 / 황후의 오빠에게, / Hesse 대공 Ernest Louis인, / 밝혔다 / Anderson을 / Franziska Schanzkowska라고, / 폴란드 공장 노동자인 / 정신병력이 있는.

ⓐ 과거분사구(funded by ~ of Hesse)가 앞서 나온 명사구(a private investigation)을 후치수식하고 있다.
ⓑ 동격으로, 콤마 앞 명사를 부연설명한다.
ⓒ identify A as B : A를 B라고 밝혀내다

어휘

impostor사기꾼murder살해하다, 살인
sibling형제자매communist공산주의자
revolutionary혁명가location장소, 위치
attention관심, 주목convince확신하다
fund자금을 제공하다mental illness정신병
lawsuit소송, 고소courts법원
rule판결을 내리다, 지배하다coverage보도
notoriety악명, 악평

0020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A) Whatever Simon showed Michael he understood at once, and after three days he worked as if he (a)had sewn boots all his life. He worked without stopping, and ate little. When work was over he sat silently, looking upwards. He hardly went into the street, spoke only when necessary, and neither joked (b)nor laughed. They never saw him smile, except that first evening when Matryona gave them supper.

(B) Simon rose, bowed, and looked at the gentleman with astonishment. He had never seen any one like him. Simon himself was lean, Michael was thin, and Matryona was dry as a bone, but this man was (c)like some one from another world: red-faced, burly, with a neck like a bull’s, and looking altogether as if he were cast in iron.

(C) Day by day and week by week the year went round. Michael lived and worked with Simon. His fame spread till people said (d)that no one sewed boots so neatly and strongly as Simon’s workman, Michael; and from all the district round people came to Simon for their boots, and he began to be well off.

(D) One winter day, as Simon and Michael sat working, a carriage on sledge-runners, with three horses and with bells, drove up to the hut. They looked out of the window; the carriage stopped at their door, a fine servant jumped down from the box and opened the door. A gentleman in a fur coat got out and walked up to Simon’s hut.  The gentleman stooped to enter the hut, and when he drew himself up again his head nearly reached the ceiling, and he seemed quite (e)filling his end of the room.

*sledge-runner 썰매
**amphitheater 원형 경기장

01. 주어진 글 (A)에 이어질 내용을 순서에 맞게 배열한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B) – (C) – (D)    ② (B) – (D) – (C)    ③ (C) – (B) – (D)
④ (C) – (D) – (B)    ⑤ (D) – (C) – (B)

02. 밑줄 친 (a)~(e) 중에서 어법상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03. 윗글의 관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Michael은 일이 끝나면 조용히 앉아서 위를 보았다.
② Michael은 거의 웃거나 농담도 하지 않았다.
③ 건장한 신사가 Simon의 오두막으로 찾아왔다.
④ 날이 갈 수록 Michael의 명성도 높아졌다.
⑤ 신사는 모피코트를 입고 있었다.

정답 확인 및 중요 구문

정답 및 해석

01. ④ / 02. ⑤ (filling → to fill) / 03. ④
원문 : What Men Live By by Leo Tolstoy (1885)

(A) Simon이 Michael에게 보여준 것은 무엇이든 그는 단번에 이해했고, 사흘이 지난 후에는 평생 부츠를 꿰맨 것처럼 일했다. 그는 쉬지 않고 일했고, 거의 먹지 않았다. 일이 끝나면 그는 위를 올려다보며 조용히 앉아 있었다. 그는 거리에 거의 나가지 않았고, 필요할 때만 말을 했으며, 농담도 웃지도 않았다. 그들은 Matryona가 그들에게 식사를 준 첫날 저녁을 제외하고는 그가 웃는 것을 본 적이 없었다.

(B) Simon은 일어나서 인사를 하고 놀란 눈으로 그 신사를 바라보았다. 그는 그와 같은 사람을 본 적이 없었다. Simon 자신은 앙상했고, Michael은 말랐고, Matryona는 뼈처럼 말랐지만, 이 남자는 얼굴이 붉고 건장하며 황소처럼 목이 크고, 마치 쇠로 만들어진 것처럼 완전해 보이는 다른 세계의 사람 같았다.

(C) 하루가 가고 일주일이 지나고 일년이 지났다. Michael은 Simon과 함께 살면서 일했다. 그의 명성은 사람들이 Simon의 조수인 Michael만큼 깔끔하고 강하게 부츠를 꿰맨 사람이 없다고 말할 때까지 퍼졌다. 그리고 모든 지역에서 사람들이 그들의 부츠를 위해 Simon에게 왔고, 그는 부유해지기 시작했습니다.

(D) 어느 겨울날 Simon과 Michael이 일을 하고 있을 때, 썰매가 달린 마차가 세 마리의 말과 방울을 달고 오두막으로 달려왔다. 그들은 창밖을 내다보았다. 마차가 그들의 문 앞에 멈추었고, 훌륭한 하인이 내려서 문을 열었다. 모피 코트를 입은 신사가 나와서 Simon의 오두막으로 걸어갔다. 신사는 오두막 안으로 들어가기 위해 몸을 굽혔고, 다시 몸을 일으켰을 때 그의 머리는 거의 천장에 닿았고, 그는 그의 방 끝을 꽤 채우는 것처럼 보였다.

중요구문

ⓐWhatever Simon / ⓑshowed Michael / he / understood / at once, / and after three days / he / worked / ⓒas if he / had sewn / boots / all his life.
Simon이 / Michael에게 보여준 것이 무엇이든 / 그는 / 이해했다 / 한번에, / 그리고 3일 뒤에 / 그는 일했다 / 마치 그가 / 바느질했던 것처럼 / 그의 일생 동안

ⓐ 복합관계대명사로 문장 내에서 명사절과 부사절을 이끈다.
ⓑ 4형식 수여동사(보여주다)로 직접목적어가 whatever에 의해 사라진 형태이다. ‘Michael을 봤다’로 해석하면 안되고 ‘Michael에게 보여줬다’로 생각하고 해석해야 한다.
ⓒ as if 가정법(과거-대과거)으로 ‘마치 ~였던 것처럼 ~했다’로 해석한다.

어휘

sew바느질하다, 깁다hardly거의 ~않다
except제외하다supper저녁 식사, 야식
bow인사하다, 숙이다astonishment크게 놀람
lean앙상한, 기울이다burly건장한
altogether완전히district지구, 구역
carriage마차servant하인, 종
ceiling천장quite

0019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The chickens that saved Western civilization were discovered, according to legend, by the side of a road in Greece in the first decade of the fifth century B.C. The Athenian general Themistocles, on his way to (a)confront the invading Persian forces, stopped to watch two cocks fighting and summoned his troops, saying: “Behold, these do not fight for their household gods, for the monuments of their ancestors, for glory, for liberty or the safety of their children, but only because one will not give way to the other.” The tale does not describe what happened to the loser, nor explain why the soldiers found this display of instinctive aggression (b)inspirational rather than pointless and depressing. But history records that the Greeks, thus heartened, went on to repel the invaders, preserving the civilization that today honors those same creatures by breading, frying and dipping them into one’s choice of sauce. The descendants of those roosters might well think—if they were capable of such profound thought—that their ancient (c)forebears have a lot to answer for.
Chicken is the ubiquitous food of our era, crossing multiple cultural boundaries with ease. With its mild taste and uniform texture, chicken (d)ruins an intriguingly blank canvas for the flavor palette of almost any cuisine. A generation of Britons is coming of age in the belief that chicken tikka masala is the national dish, and the same thing is happening in China with Kentucky Fried Chicken. Long after the time when most families had a few hens running around the yard that could be grabbed and turned into dinner, chicken remains a nostalgic, evocative dish for most Americans. When author Jack Canfield was looking for a (e)metaphor for psychological comfort, he didn’t call it “Clam Chowder for the Soul.”

*intriguingly 흥미롭게
**evocative 좋은 생각을 떠올리게 하는
***tikka maslaa 티카마살라. 인도음식의 일종

01. 윗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Outstanding Civilization of Ancient Greece
② Why Should We Learn History?
③ Chicken contributed to human civilization
④ The Recipe of Ancient Greece
⑤ How to Cook Chicken by Part

02. 밑줄 친 (a) ~ (e) 중에서 문맥상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정답 확인 및 중요 구문

정답 및 해석

01. ③ / 02. ④ (ruins → presents)
원문 : How the Chicken Conquered the World

전설에 따르면, 서양 문명을 구한 닭들은 기원전 5세기 초 그리스의 한 도로변에서 발견되었다. 아테네의 장군 Themistocles는 침략하는 페르시아 군대와 맞서는 길에 멈춰 서서 두 마리의 수탉이 싸우는 것을 보고, 그의 군대를 불러 다음과 같이 말했다: “보아라, 이것들은 그들의 집안 신들, 조상들의 기념물, 영광, 자유, 아이들의 안전을 위해 싸우는 것이 아니라 그저 오직 한 마리가 다른 놈에게 길을 양보하지 않으려고 하기 때문에 싸운다. ” 이 이야기는 패배자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묘사하지 않으며, 군인들이 왜 이 본능적인 공격성의 표출이 무의미하고 우울하기보다는 영감을 주는 것이라고 생각했는지 설명하지 않는다. 그러나 역사는 이렇게 용기를 얻은 그리스인들이 침략자들을 물리쳤고, 오늘날 빵을 굽고, 튀기고, 누군가 선택한 소스에 그들을 찍어 먹음으로써 그와 같은 생명체를 기리는 문명을 보존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 수탉들의 후손들은 (그들이 그렇게 깊은 생각을 할 수 있다면) 고대 조상들이 책임져야 할 것이 많다고 생각할 것이다.
치킨은 여러 문화적 경계를 쉽게 넘나드는 우리 시대의 어디에나 있는 음식이다. 부드러운 맛과 균일한 질감으로, 치킨은 거의 모든 요리의 맛 팔레트를 위해 흥미롭게 비어있는 캔버스를 파괴합니다(→제공합니다). 영국의 한 세대는 치킨 티카마살라가 국민 음식이라는 믿음으로 성년이 되고 있으며, 중국에서도 켄터키 프라이드치킨으로 같은 일이 일어나고 있다. 대부분의 가족들이 잡아서 저녁 식사로 바꿀 수 있는 마당을 뛰어다니는 몇 마리의 암탉들을 지니고 있었던 시간이 훨씬 지난 후에, 치킨은 대부분의 미국인들에게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음식으로 남아있다. 작가 잭 캔필드가 심리적 위안에 대한 은유를 찾았을 때, 그는 그것을 “영혼을 위한 클램 차우더”라고 부르지 않았다.

중요구문

Long after / the time / ⓐwhen most families / had a few hens / ⓑrunning around the yard / ⓒthat could be grabbed / and ⓓturned into dinner, / chicken / remains / a nostalgic, evocative dish / for most Americans.
오랜 후에 / 시간이 / 대부분의 가정이 / 몇마리의 닭을 가진 / 마당 주위를 뛰어 다니는 / 잡힐 수 있고 / 그리고 저녁식사로 변할 수 있는, / 닭은 / 남아있다 / 향수어린, 좋은 기억을 떠올리는 음식으로 / 대부분의 미국인들에게

ⓐ 관계부사로 선행사(the time)을 후치수식하고 있다. that으로 변경하거나 접속사를 생략할 수 있다.
ⓑ 현재분사로 명사구(a few hens)를 후치수식하고 있다. ‘~하는’으로 해석한다.
ⓒ 주격관계대명사로 선행사(a few hens running around the yard)를 후치수식하고 있다. ‘the yard’를 수식하는 것이 아님에 주의.
ⓓ ‘turn A into B(A를 B로 바꾸다)’ 구문의 수동태이다.

어휘

civilization문명legend전설
confront직면하다, 맞서다behold바라보다
instinctive본능적인, 직감적인aggression공격성
inspirational영감을 주는hearten용기를 북돋우다
repel격퇴하다, 쫒아내다invader침입자
descendant후예, 후손profound심오한, 엄청난
forebear선조, 조상answer for책임지다, 보증하다
ubiquitous어디에나 있는, 흔한nostalgic향수어린

0018

다음 글의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Ever since Assyriologists, who specialize in translating Mesopotamian cuneiform documents, mostly in the form of clay tablets, first began to read Neo-Babylonian records excavated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Nabonidus has stood out as an unusual ruler. While the record is fragmentary, cuneiform tablets and inscriptions have helped scholars trace Nabonidus’ unconventional career. A palace courtier, Nabonidus came to power in his 50s or 60s by way of a coup that may have been orchestrated by his son Belshazzar, who plays a central role in the Bible’s Book of Daniel. In this biblical account, Nabonidus, who is mistakenly identified as his predecessor Nebuchadnezzar II (r. 605–562 B.C.), is described as a mad king obsessed with dreams. According to the Book of Daniel, the king leaves Babylon to live in the wilderness for seven years. This depiction overlaps somewhat with Nabonidus’ own inscriptions, in which he emphasizes that he was an especially pious man who paid heed to dreams as the divine messages of the gods. Nabonidus was also infamous in antiquity for abandoning Babylon for 10 years to live in the deserts of Saudi Arabia, where he established a kind of shadow capital at the oasis of Tayma. This was a *************** move for a Mesopotamian ruler.

* Assyriologist 아시리아(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 학자
**cuneiform 설형(쐐기)문자

① fair and square
② strange and unprecedented
③ unusual and sad
④ incoherent and incomprehensible
⑤ mythical and prosperous

정답 확인 및 중요 구문

정답 및 해석


원문 : The Last King of Babylon

메소포타미아의 설형문자 문서를 번역하는 것이 전공인 아시리학자들이 19세기 말에 발굴된 신바빌로니아 기록을 처음 읽기 시작한 이래로 Nabonidus는 특이한 통치자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기록은 단편적이지만 설형문자와 비문은 학자들이 Nabonidus의 비범한 경력을 추적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궁정의 신하인 Nabonidus는 성경 다니엘서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그의 아들 Belshazzar에 의해 조직된 것으로 보이는 쿠데타를 통해 50대 또는 60대에 권력을 잡았다. 이 성경에서, 그의 전임자인 Nebuchadnezzar 2세 (재위 기원전 605년–562년)로 잘못 알려진 Nabonidus는 꿈에 사로잡힌 미친 왕으로 묘사된다. 다니엘서에 따르면 왕은 바빌론을 떠나 7년 동안 광야에서 산다. 이 묘사는 특히 그가 신들의 신의 메시지로서 꿈에 주의를 기울였던 경건한 사람이었다는 것을 강조하는 Nabonidus 자신의 비문과 다소 겹친다. Nabonidus는 고대에 사우디아라비아의 사막에서 살기 위해 바빌론을 10년간 버린 것으로 악명이 높았는데, 그곳에서 그는 Tayma의 오아시스에 일종의 그림자 수도를 세웠다. 이것은 메소포타미아 통치자로서는 이상하고 전례가 없는 움직임이었다.

중요구문

ⓐEver since Assyriologists, / ⓑwho ⓒspecialize in translating / Mesopotamian cuneiform documents, / ⓓmostly in the form of clay tablets, / first began to read / Neo-Babylonian records / ⓔexcavated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 Nabonidus / ⓕhas stood out / as an unusual ruler.
아시리아학자들이, / 번역을 전공한 / 메소포타미아 설형 문서를 / 대부분 점토판 형태인, / 처음 읽는 것을 시작한 이래로 쭉 / 신바빌로니아 기록을 / 19세기 말에 발굴된, / Nabonidus는 / 두각을 나타냈다 / 특이한 통치자로.

ⓐ 부사절 접속사 ever since : s가 v한 이래로 쭉
ⓑ 주격관계대명사의 계속적용법으로 선행사(Assyriologists)를 후치수식한다.
ⓒ specialize 뒤에 전치사 in이 오면 보통 ‘전공하다’의 의미로 쓰인다.
ⓓ 앞선 명사구(Mesopotamian cuneiform documents)를 부연 설명하는 동격어구이다.
ⓔ 과거분사구로 형용사역할을 하여 앞에 있는 명사구(Neo-Babylonian records)를 후치수식하고 있다.
ⓕ 19세기 후반부터 지금까지 쭉 계속 진행되는 내용으로 현재완료(계속)를 사용하였다.

어휘

specialize전공하다, 전문화하다excavate발굴하다, 출토하다
fragmentary단편적인, 부분적인inscription비문
unconventional색다른, 독특한coup쿠데타, 일격
orchestrate조직하다, 편곡하다obsess사로잡다, 집착하게 하다
depiction묘사overlap겹치다
emphasizes강조하다pious경건한, 독실한
pay heed to~에 주의를 기울이다antiquity고대
abandon버리다, 유기하다

0017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 가장 적절한 곳은?

Thus, it is possible to simulate the human epistemic process in machines.

Machine learning is a kind of technology seeking to simulate human cognitive ability on machines. Thus, it is closely related to philosophical epistemology, which also studies epistemic activity. ① Machine learning was originally born from an epistemological analogy as follows. ② When the rationalist epistemology reveals that the human epistemic process should be governed by strict logic and rules, the information processing in computers is controlled by precise algorithms and programs, and there is undoubtedly a high degree of analogy between the two. ③ Moreover, the two processes are consistent in form and even in essence. ④ Besides, the main purpose of epistemology is to regulate those properties and relations necessary for the combination of knowledge. ⑤ Machine learning is the incorporation of some epistemic relations (especially inference relations) into its own theory of knowledge, enabling the process of knowledge representation or knowledge discovery by machines to highlight the universal function of epistemology.

* epistemology 인식론

정답 확인 및 중요 구문

정답 및 해석


원문 : The Epistemology of Machine Learning

머신러닝은 기계에서 인간의 인지 능력을 시뮬레이션하려는 기술의 일종이다. 따라서 인식론적 활동을 연구하는 철학적 인식론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기계 학습은 원래 다음과 같은 인식론적 추론에서 비롯되었다. 합리주의적 인식론이 인간의 인식론적 과정이 엄격한 논리와 규칙에 의해 지배되어야 한다는 것을 드러낼 때, 컴퓨터에서의 정보 처리는 정밀한 알고리즘과 프로그램에 의해 통제되고, 두 가지 사이에는 의심할 여지 없이 높은 수준의 유사성이 있다. 게다가, 두 과정은 형태적으로 심지어 본질적으로 일관된다. (주어진 문장)따라서 기계에서 인간 인식 과정을 시뮬레이션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인식론의 주된 목적은 지식의 결합에 필요한 특성과 관계를 규제하는 것이다. 머신러닝은 인식론적 관계(특히 추론 관계)를 지식 이론에 통합하여 인식론의 보편적 기능을 강조하기 위해 기계에 의한 지식 표현 또는 지식 발견 과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중요구문

ⓐWhen the rationalist epistemology / reveals / ⓑthat the human epistemic process / should be governed / by strict logic and rules, / the information processing in computers / is controlled / by precise algorithms and programs, / and ⓒthere is undoubtedly / a high degree of analogy / between the two.
합리주의적 인식론이 / 드러낼 때 / 인간의 인식론적 과정이 / 지배되어야 한다는 것을 / 엄격한 논리와 규칙에 의해, / 컴퓨터에서의 정보 처리는 / 통제된다 / 정밀한 알고리즘과 프로그램에 의해, / 그리고 있다 의심의 여지 없이 / 높은 정도의 유사성이 / 두 가지 사이에.

ⓐ 부사절 접속사이다. ‘s가 v할 때’ 로 해석한다.
ⓑ that이 명사절 접속사로 사용되었다. ‘s가 v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이 명사절은 부사절(when) 내부의 목적어로 사용되었다.
ⓒ유도부사로 따로 해석하지 않고 뒤의 be동사를 ‘있다’로 해석한다. be동사는 뒤에 나오는 주어(a high degree ~)와 수일치 해야한다.

어휘

simulate시뮬레이션하다, 가장하다cognitive인지의
as (it) follows다음과 같은, 다음과 같이analogy추론, 유추, 유사성
rationalist합리주의적, 합리주의자reveal드러내다, 밝히다
govern통치하다, 지배하다precise정밀한, 정확한
undoubtedly의심의 여지 없이, 확실한consistent일관된, 변함없는
regulate규제하다properties속성, 특성
inference추론representation표현, 묘사

0016

다음 글의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Today, players around the world can use their computers and smartphones to bet on the results of lotteries on the other side of the world, but this is far from the origins of the lottery. Although the way we perceive the lottery has changed a lot over the years, the basic concept goes back to the earliest human civilizations and the history can be traced all over the world. Looking at the origin of the word itself is a useful way to trace the lineage despite the various incarnations of the lottery over time. It comes from the Dutch word “lot”, which means “destiny”, and opens up a rather interesting way of thinking about how the lottery ultimately works. The ancient Romans used various forms of the lottery, albeit for ************. Augustus Caesar introduced a lottery tickets that all citizens of Rome could buy and the prizes were a collection of treasures the army had brought back from their latest conquest. Part of the proceeds went to finance the maintenance of the capital’s roads and public buildings.

* albeit 비록 ~일지라도

① different purposes
② entertainment
③ defensive plan
④ disaster prevention
⑤ political rationality

정답 확인 및 중요 구문

정답 및 해석


원문 : Lottery History

오늘날, 전 세계의 플레이어들은 그들의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지구 반대편에서 복권의 결과에 베팅할 수 있지만, 이것은 복권의 기원과는 거리가 멀다. 비록 우리가 복권을 인식하는 방식이 수년에 걸쳐 많이 바뀌었지만, 기본 개념은 초기 인류 문명으로 거슬러 올라가고 그 역사는 전 세계적으로 추적될 수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복권의 다양한 형태에도 불구하고 단어 자체의 기원을 살펴보는 것은 그 혈통을 추적하는 유용한 방법이다. 그것은 “destiny”를 의미하는 네덜란드어 단어 “lot”에서 왔으며, 복권이 궁극적으로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다소 흥미로운 사고 방식을 열어준다. 고대 로마인들은 다양한 형태의 복권을 다른 목적으로 사용했다. Augustus Caesar는 로마의 모든 시민들이 티켓을 살 수 있는 복권을 도입했고 그 상품들은 군대가 최근 정복에서 가져온 보물들의 모음이었다. 수익금의 일부는 수도의 도로와 공공 건물의 유지 보수를 위한 자금으로 사용되었다.

중요구문

Augustus Caesar / introduced / a lottery tickets / ⓐthat all citizens of Rome / could buy / and the prizes / were a collection of treasures / ⓑthe army / had brought back / from their ⓒlatest conquest.
Augustus Caesar는 / 도입했다 / 복권을 / 모든 로마 시민이 / 살 수 있는 / 그리고 상품은 / 보물의 모음이었다 / 군대가 / 가져온 / 그들의 최근 점령지로부터.

ⓐ 주격관계대명사로 선행사(a lottery tickets)를 후치수식한다.
ⓑ 목적격관계대명사(which, that)이 생략되어있다.
ⓒ late의 최상급 표현으로 시간(가장 최근)을 나타낸다. cf. last는 순서(가장 나중)를 나타내는 late의 최상급 표현이다.

어휘

bet내기, 돈을 걸다perceive인식하다, 여기다
trace추적하다, 찾아내다lineage혈통
incarnation화신, 구체화introduce도입하다, 소개하다
conquest정복, 점령지proceeds수익금
finance재정maintenance유지 보수
capital수도, 자본

0015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e Hallyu wave has risen to great popularity over the years and as a result, the K-pop fan base has evolved, particularly in the past few years when many people became fascinated with Korean music, dramas, and movies. The pandemic also provided people with plenty of opportunities to binge-watch K-content. Having to ask about someone’s bias is a common conversation starter among fans. One should be aware of their bias while following a particular Korean pop group. The term Bias in K-pop refers to your favorite idols within a group. Bias is the first person who made you realize that when you first start following the group, the group member with the most appealing personality or that has vocals or dancing abilities fascinated you. There are numerous terms in the K-pop vocabulary, and every fan usually knows most of them, demonstrating their inclination for the genre. This vocabulary list also grows continuously because many of these words are created by the idols themselves, such as BTS V’s phrase “I purple you,” which means I will trust and love you for a long time. The phrase has become one of the most well-known in the Korean music industry.

*binge-watch 몰아보다

① major elements of the Korean cultural industry with global influence
② a must-have factor for being a fan of idols
③ various ways to collect biased data without errors
④ introducing slangs that are often used among K-pop fans
⑤ meaningful statistics on the circumstances in which k-content is consumed worldwide

정답 확인 및 중요 구문

정답 및 해석


원문 : What does bias mean in K-pop?

한류는 몇 년 동안 큰 인기를 얻었고 그 결과, 특히 많은 사람들이 한국 음악, 드라마, 영화에 매료되었던 지난 몇 년 동안 K-pop 팬 층이 진화했다. 팬데믹은 또한 사람들에게 K-콘텐츠를 볼 수 있는 많은 기회를 제공했다. 누군가의 bias에 대해 물어봐야 하는 것은 팬들 사이에서 흔한 대화의 시작이다. 특정한 한국 팝 그룹을 따라가면서 그들의 bias를 알아야 한다. K-pop Bias로도 알려진 K-pop의 Bias 라는 용어는 그룹 내에서 여러분이 가장 좋아하는 아이돌을 나타낸다. Bias는 누군가가 처음 아이돌 그룹을 따라가는 것을 시작할 때, 가장 매력적인 성격을 지닌 멤버나, 노래 혹은 춤 실력을 지닌 멤버가 당신을 매혹하는 것을 알아채도록 시작하게 만든 첫 번째 사람이다. 케이팝 어휘에는 수많은 용어들이 있는데, 팬이라면 누구나 대개 대부분을 알고 있기에 장르에 대한 성향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어휘 목록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것은 방탄소년단 뷔의 ‘보라해’라는 문구처럼 아이돌들이 직접 만든 단어가 많기 때문이다. 이 문구는 한국 음악계에서 가장 잘 알려진 문구 중 하나가 되었다.

중요구문

Bias / is the first person / ⓐwho ⓑmade / you realize / ⓒthat ⓓwhen you first start / following the group, / the group member / with the most appealing personality / or ⓔthat has vocals or dancing abilities / fascinated you.
Bias는 / 첫 번째 사람이다 / 만든 / 당신이 깨닫도록 / 당신이 처음 시작했을 때 / 아이돌을 팔로잉하는 것을, / 아이돌 멤버가 / 가장 매력적인 성격을 지니거나 / 보컬이나 댄스 능력을 지닌 / 당신을 매료시켰다는 것을.

ⓐ 주격관계대명사로 선행사(the first person)를 후치수식하고 있다.
ⓑ 5형식 사역동사이다. 목적어(you)와 목적격보어(realize)의 관계가 능동일 때, 목적격보어는 원형부정사를 사용한다. ‘o를 o.c하게하다’로 해석한다.
ⓒ 명사절 접속사로 사용되었다. ‘s가 v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 부사절 접속사이다. ‘s가 v할 때’로 해석한다. 이 구문에서는 명사절 접속사 바로 뒤에 위치해있다. 이 때, 부사절의 모양을 확인하고 that절의 주어 동사를 파악해야 올바른 해석이 가능하다.
ⓔ 주격관계대명사로 선행사(the group member)를 후치수식하고 있다.

어휘

popularity인기bias편견, 성향, (속어) 최애
conversation대화appealing매력적인
personality성격, 개성fascinate마음을 사로잡다, 매혹하다
numerous많은demonstrate보여주다, 입증하다
inclination성향, 의향genre장르

0014

Marie Tharp에 관한 다음 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In 1948, when Marie Tharp began working at the Lamont Geological Laboratory, very little was known about the structure of the seafloor; it was thought to be mostly flat and featureless. But when Tharp and her colleague Bruce Heezen published the first map of the Atlantic in 1957, Tharp’s drawings revealed that the seafloor is instead covered in canyons, ridges, and mountains. Over time, her maps revealed the existence of the mid-ocean ridges, a series of mountain ranges that extend over 40,000 miles around the globe. Tharp began her career at a time when few women became scientists. Because of her gender, she wasn’t even allowed on the ships that collected the seafloor data that she used to make her maps; she didn’t set foot on a research cruise until 1968. Her early evidence of seafloor spreading was dismissed as “girl talk.” Today, Marie Tharp is recognized for the revolutionary that she was. In 1997, the Library of Congress named her as one of the four greatest cartographers of the 20th century. She died of cancer in 2006 at the age of 86, but her legacy lives on in the countless women scientists she has inspired.

① 1948년까지도 해저의 구조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② Tharp와 Heezen은 1957년 대서양의 첫 지도를 출판했다
③ Tharp는 여성 과학자가 거의 없었던 시기에 일을 시작했다
④ 오늘날 Tharp는 혁명가로 인정받고 있다
⑤ 1997년 영국 의회 도서관은 Tharp를 20세기의 위대한 지도 제작자 중 하나로 선정했다

정답 확인 및 중요 구문

정답 및 해석


원문 : About Marie Tharp

1948년 Marie Tharp가 Lamont Geological Laboratory에서 일하기 시작했을 때 해저의 구조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1957년 Tharp와 그녀의 동료 Bruce Heezen이 대서양의 첫 지도를 출판했을 때, 타프의 그림은 해저가 대신 협곡, 능선, 그리고 산으로 덮여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녀의 지도는 전 세계적으로 4만 마일 이상 뻗어 있는 일련의 산맥인 중앙 해양 능선의 존재를 보여주었다. Tharp는 과학자가 된 여성이 거의 없었던 시기에 그녀의 경력을 시작했다. 그녀의 성별 때문에, 그녀는 심지어 그녀가 지도를 만드는 데 사용한 해저 자료를 수집하는 배에 타는 것도 허락되지 않았다; 그녀는 1968년까지 연구선에 발을 들여놓지 않았다. 해저가 퍼졌다는 그녀의 초기 증거는 “걸 토크”로 치부되었다. 오늘날, Marie Tharp는 그녀가 그랬던 것처럼 혁명가로 인정받고 있다. 1997년, 미국 의회 도서관은 그녀를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지도 제작자 4명 중 한 명으로 선정했다. 그녀는 2006년에 86세의 나이로 암으로 사망했지만, 그녀의 유산은 그녀가 영감을 준 수많은 여성 과학자들에게 남아있다.

중요구문

Because of her gender, / she wasn’t even allowed / on the ships / ⓐthat collected / the seafloor data / ⓑthat she used / ⓒto make / her maps; / she didn’t set foot / on a research cruise / until 1968.
그녀의 성별 때문에, / 그녀는 심지어 허락되지 않았다 / 배에 타는것이 / 수집했던 / 해저 자료를 / 그녀가 사용 했던 / 만들기 위해 / 그녀의 지도를; / 그녀는 / 발을 들이지 않았다 / 연구선에 / 1968년 까지.

ⓐ 주격관계대명사로 선행사(the ships)를 후치수식하고 있다.
ⓑ 목적격관계대명사로 선행사(the seafloor data)를 후치수식하고 있다.
ⓒ 부사적용법의 to부정사로 ‘~하기 위하여’로 해석한다. 해석할 때, ‘used to(~하곤 했다)’가 아님에 주의할 것.

어휘

structure구조seafloor해저
featureless특색없는reveal드러내다, 밝히다
ridge능선existence존재
a series of일련의evidence증거
dismiss무시하다, 치부하다revolutionary혁명적인
cartographer지도제작자legacy유산
inspire영감을 주다

0013

다음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Cognitive scientists see motivated reasoning as a force that operates in many domains. Studies by political psychologists highlight denial of climate change or discrediting its science as important examples of motivated reasoning; people process scientific information about climate shifts to conform to pre-existing feelings and beliefs. After all, accepting that climate change is real portends unpleasant environmental consequences and would require most people to head them off by making significant changes in lifestyle. Changing one’s mind and changing one’s lifestyle are hard work; people prefer mental shortcuts. Motivated reasoning operates in more personal spheres as well. To maintain positive self-regard, people discount unflattering or troubling information that contradicts their self-image. Individuals engage in motivated reasoning as a way to avoid or lessen cognitive dissonance, the mental discomfort people experience when confronted by contradictory information, especially on matters that directly relate to their comfort, happiness, and mental health. Rather than re-examining a contradiction, it’s much easier to dismiss it.

* portend (불길한) 전조가 되다

It is difficult to change one's mind and lifestyle, so motivated reasoning (A) in personal domain in a way that ignores (B) rather than re-examining them.

① occurs / consistences
② occurs / contradictions
③ occurs / consequences
④ works / self-image
⑤ disappear / cognition

정답 확인 및 중요 구문

정답 및 해석


원문 : Motivated Reasoning

인지과학자들은 동기부여된 추론을 많은 영역에서 작용하는 힘으로 본다. 정치 심리학자들의 연구는 기후 변화에 대한 부정이나 과학에 대한 불신을 동기 부여된 추론의 중요한 예로 강조한다; 사람들은 기후 변화에 대한 과학적 정보를 기존에 존재하는 감정과 믿음에 따라 처리한다. 결국, 기후 변화가 진짜라는 것을 받아들이는 것은 불길한 환경적 결과의 전조가 되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생활 방식에 중대한 변화를 줌으로써 그것들을 막도록 요구할 것이다. 생각을 바꾸고 생활방식을 바꾸는 것은 힘든 일이다; 사람들은 정신적인 지름길을 선호한다. 동기부여된 추론은 더 개인적인 영역에서도 작동한다. 긍정적인 자아 존중을 유지하기 위해, 사람들은 자신의 이미지와 모순되는, 호의적이지 않거나 문제가 되는 정보를 무시한다. 개인은 특히 자신의 편안함, 행복, 정신 건강과 직접 관련된 문제에 대해 사람들이 모순된 정보에 직면할 때 겪는 정신적 불편함인 인지 부조화를 피하거나 줄이는 방법으로 동기 부여 추론에 관여한다. 모순을 재검토하는 것보다, 그것을 무시하는 것이 훨씬 쉽다.

중요구문

Individuals / engage in / motivated reasoning ⓐas a way / to avoid or ⓑlessen / cognitive dissonance, / ⓒthe mental discomfort people experience / ⓓwhen confronted / by contradictory information, / especially on matters / ⓔthat directly relate to / their comfort, happiness, and mental health.
개인들은 / 관여한다 / 동기부여된 추론에 / 방법으로써 / 회피하거나, 줄이는 / 인지 부조화를, / 정신적 불편함인 / 사람들이 겪는 / 직면할 때, / 특히 문제에 / 직접적으로 관련된 / 그들의 편안함, 행복, 그리고 정신 건강에.

ⓐ as가 전치사로 사용되었다. ‘~로서(써)’로 해석한다. 이 전명구는 문장끝까지 이어진다.
ⓑ 형용사 접두나 접미에 ‘en’을 붙이면 타동사가 되는 단어들이 많다. (ex. enlarge, sharpen 등)
ⓒ 동격으로 ‘congnitive dissonance’를 부연 설명하기 위해 삽입한 명사구이다.
ⓓ 분사구문으로 접속사가 생략되지 않은 형태이다.
ⓔ 주격관계대명사로 선행사는 ‘matters’이다.

어휘

cognitive인지의reasoning추론
domain영역highlight강조하다
denial부인, 부discredit불신, 불명
conform따르다, 순응하다head off~을 막다, 저지하다
shortcut지름길sphere영역, 구
discount무시하다, 할인하다unflattering호의적이지 않은, 어울리지 않는
contradict부인하다, 반박하cognitive dissonance인지 부조화
confront직면하다, 맞서다dismiss무시하다, 해고하다

0012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It has been increasingly ①exciting to follow the recent surge in the discovery of exoplanets. Not only because ②what started as a needle in the haystack endeavor in the late 1980s has become a booming field of space exploration, when it gained its latest momentum with the success of Nasa’s Kepler Telescope. The symbolism of exoplanets goes beyond the Buckminster Fuller metaphor of spaceship earth. It shows ③that the drive of science knows no limits. When astronomers will confirm the first extragalactic planets, the reach for infinity will open even wider realms of understanding the universe. This understanding coupled with a new consciousness about the value and fragility of planet earth can lead to a will to push for solutions right here on earth. Science will continue to reach ever ④farther into infinity for ever great findings. Here on earth this will just strengthen the realization that the dream of habitable planets or even communicating life forms in our reach is as ⑤absurdly as the ideas of afterlives and deities.

정답 확인 및 중요 구문

정답 및 해석

⑤ (absurdly → absurd)
원문 : We Are Not Unique In The Universe, But We Are Very Much Alone

최근 급증하는 외계 행성 발견을 따라가는 것이 점점 더 흥미진진해지고 있다. 1980년대 말 건초더미 속 바늘의 노력으로 시작했던 것이 Nasa의 Kepler Telescope의 성공으로 최근의 추진력을 얻었을 때 우주 탐험의 급속히 발전하는 분야가 되었기 때문만은 아니다. 외계 행성의 상징성은 1)우주선 지구에 대한 Buckminster Fuller 은유를 넘어선다. 그것은 과학의 추진력이 한계가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천문학자들이 첫 번째 은하계 밖의 행성을 확인할 때, 무한대에 이르는 범위는 우주를 이해하는 훨씬 더 넓은 영역을 열 것이다. 이러한 이해는 행성 지구의 가치와 취약성에 대한 새로운 의식과 결합되어 바로 여기 지구에서 해결책을 추진하려는 의지로 이어질 수 있다. 과학은 위대한 발견을 위해 무한대로 더 멀리까지 계속 도달할 것이다. 지구상에서 이것은 단지 거주할 수 있는 행성이나 심지어 우리가 도달할 수 있는 곳에서 생명체를 소통하는 것에 대한 꿈이 사후세계와 신들의 생각만큼이나 터무니없다는 깨달음을 강화시킬 것이다.

1) 버크민스터 풀러(Richard Buckminster Fuller, July 12, 1895 – July 1, 1983)는 미국의 건축가이자 발명가이다. 그는 인류 전반에 대해 관심을 가졌고, 세계와 그 문제에 대해 큰 그림을 그렸다. 그는 우리의 행성을 묘사하기 위해 “우주선 지구(spaceship earth)”라는 문구를 만들었다. 그는 모든 인간이 우주선 지구의 승객이라고 느꼈고, 큰 배의 승무원들처럼, 사람들은 행성이 제대로 작동하도록 하기 위해 함께 일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중요구문

ⓐNot only because / ⓑwhat started / as ⓒa needle in the haystack endeavor / in the late 1980s / has become a booming field / of space exploration, / when ⓓit gained / its latest momentum / with the success of Nasa’s Kepler Telescope.
때문만은 아니다 / 시작했던 것이 / 건초 더미 속 바늘의 노력으로써 / 1980년대 후반에 / 급속히 발전하는 분야가 되었기 / 우주 탐험의, / 그것이 얻었을 때 / 그것의 마지막 추진력을 / Nasa’s Kepler Telescope의 성공으로

ⓐ not only because S V : S가 V했기 때문만은 아니다
ⓑ 명사절 접속사로 what이 사용되었고 what이 이끄는 명사절은 불완전하다.
ⓒ a needle in the haystack ‘건초 더미 속 바늘’로 불가능한 일을 나타낸다. (서울에서 김서방 찾기)
ⓓ it이 가리키고 있는 명사는 앞서 쓰인 what절이다.

어휘

surge급증, 밀려들다endeavor노력
exploration탐사momentum추진력, 여세
symbolism상징성, 상징주의exoplanet외계 행성
drive추진력, 흐름astronomer천문학자
confirm확인하다, 사실임을 보여주다extragalactic은하계 밖의
consciousness의식fragility연약함, 취약성
habitable거주할 수 있는absurd터무니없는, 우스꽝스러운
afterlife사후세계, 내세de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