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12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It has been increasingly ①exciting to follow the recent surge in the discovery of exoplanets. Not only because ②what started as a needle in the haystack endeavor in the late 1980s has become a booming field of space exploration, when it gained its latest momentum with the success of Nasa’s Kepler Telescope. The symbolism of exoplanets goes beyond the Buckminster Fuller metaphor of spaceship earth. It shows ③that the drive of science knows no limits. When astronomers will confirm the first extragalactic planets, the reach for infinity will open even wider realms of understanding the universe. This understanding coupled with a new consciousness about the value and fragility of planet earth can lead to a will to push for solutions right here on earth. Science will continue to reach ever ④farther into infinity for ever great findings. Here on earth this will just strengthen the realization that the dream of habitable planets or even communicating life forms in our reach is as ⑤absurdly as the ideas of afterlives and deities.

정답 확인 및 중요 구문

정답 및 해석

⑤ (absurdly → absurd)
원문 : We Are Not Unique In The Universe, But We Are Very Much Alone

최근 급증하는 외계 행성 발견을 따라가는 것이 점점 더 흥미진진해지고 있다. 1980년대 말 건초더미 속 바늘의 노력으로 시작했던 것이 Nasa의 Kepler Telescope의 성공으로 최근의 추진력을 얻었을 때 우주 탐험의 급속히 발전하는 분야가 되었기 때문만은 아니다. 외계 행성의 상징성은 1)우주선 지구에 대한 Buckminster Fuller 은유를 넘어선다. 그것은 과학의 추진력이 한계가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천문학자들이 첫 번째 은하계 밖의 행성을 확인할 때, 무한대에 이르는 범위는 우주를 이해하는 훨씬 더 넓은 영역을 열 것이다. 이러한 이해는 행성 지구의 가치와 취약성에 대한 새로운 의식과 결합되어 바로 여기 지구에서 해결책을 추진하려는 의지로 이어질 수 있다. 과학은 위대한 발견을 위해 무한대로 더 멀리까지 계속 도달할 것이다. 지구상에서 이것은 단지 거주할 수 있는 행성이나 심지어 우리가 도달할 수 있는 곳에서 생명체를 소통하는 것에 대한 꿈이 사후세계와 신들의 생각만큼이나 터무니없다는 깨달음을 강화시킬 것이다.

1) 버크민스터 풀러(Richard Buckminster Fuller, July 12, 1895 – July 1, 1983)는 미국의 건축가이자 발명가이다. 그는 인류 전반에 대해 관심을 가졌고, 세계와 그 문제에 대해 큰 그림을 그렸다. 그는 우리의 행성을 묘사하기 위해 “우주선 지구(spaceship earth)”라는 문구를 만들었다. 그는 모든 인간이 우주선 지구의 승객이라고 느꼈고, 큰 배의 승무원들처럼, 사람들은 행성이 제대로 작동하도록 하기 위해 함께 일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중요구문

ⓐNot only because / ⓑwhat started / as ⓒa needle in the haystack endeavor / in the late 1980s / has become a booming field / of space exploration, / when ⓓit gained / its latest momentum / with the success of Nasa’s Kepler Telescope.
때문만은 아니다 / 시작했던 것이 / 건초 더미 속 바늘의 노력으로써 / 1980년대 후반에 / 급속히 발전하는 분야가 되었기 / 우주 탐험의, / 그것이 얻었을 때 / 그것의 마지막 추진력을 / Nasa’s Kepler Telescope의 성공으로

ⓐ not only because S V : S가 V했기 때문만은 아니다
ⓑ 명사절 접속사로 what이 사용되었고 what이 이끄는 명사절은 불완전하다.
ⓒ a needle in the haystack ‘건초 더미 속 바늘’로 불가능한 일을 나타낸다. (서울에서 김서방 찾기)
ⓓ it이 가리키고 있는 명사는 앞서 쓰인 what절이다.

어휘

surge급증, 밀려들다endeavor노력
exploration탐사momentum추진력, 여세
symbolism상징성, 상징주의exoplanet외계 행성
drive추진력, 흐름astronomer천문학자
confirm확인하다, 사실임을 보여주다extragalactic은하계 밖의
consciousness의식fragility연약함, 취약성
habitable거주할 수 있는absurd터무니없는, 우스꽝스러운
afterlife사후세계, 내세deity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